3개 프로젝트 그룹의 〈NOSCE〉(황정은 극본, 윤성호 연출)는 원전 폭발 이후 25년 동안 고립된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할머니 옥(김은희)과 20대 친구 현(윤정로), 희(김민주)와 함께 살고 있는 이 마을에는 비인간적인 타자 노체(희희)가 살고 있다.
재난구조 로봇 최진)과 연(박윤정), 필(선명균)이 차례로 그녀를 찾아오며 마을에 혼란과 균열을 일으킨다.
다양한 빈티지 가구와 비품이 빽빽하게 차곡차곡 쌓여 있는 무대는 세상의 주변과 일상의 시간을 강렬하게 보여주는 시각적 형태로, 외부 세계와 분리된 게토 공간이자 폐허의 잔재로서의 시공간임을 더욱 드러낸다.
행위.
사회안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곳인 동시에 자율적으로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곳이다.
멧돼지를 막기 위한 벽을 쌓음으로써 노스체는 이곳의 간극을 메우는 상징적 존재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Northche에게 위험은 그 자체로 경고 장치로 여기에서 구현되며 오히려 폐허와 관련된 세계에서 인간이 아닌 생태적 위협의 비가시성을 드러냅니다.
희, 현, 옥의 썩어가는 신체 부위가 그 증거지만 위험과 습관화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에 가깝다.
19세기 유럽의 탄광에서 유독가스를 찾아내는 카나리아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Northche는 인간보다 더 의식적이고 민감하며 인간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고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오직” 숭고한 타자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 몸을 뒤흔드는 눈사태로 그의 위험 인식이 드러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그가 방사능으로 인해 신체 기능을 잃게 될지는 알 수 없으나, 인간 편에 남아 있는 원래의 목적은 오히려 환경의 특수성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 Nosche는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갑니다.
“The Northbody는 당신의 고통을 알고 있습니다.
”라는 광고 슬로건을 반영하는 세상입니다.
따라서 온몸을 흔드는 것은 그의 연약한 존재의 차원을 가시화한다.
nosce가 아는 것은 사람이 모르는 것입니다.
“nosce”는 라틴어로 “알다”를 의미합니다.
그가 아는 것에는 인간이 볼 수 없는 것을 감지하여 아는 것이 포함됩니다.
안다는 것은 또한 적어도 인간에게는 당신이 모르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의 지식은 인간의 무지와 관련하여 실제로 의미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역할, 그의 지식이 인간의 무지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메타인식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가 그것을 모르기 때문에 그의 희생자는 완전히 이기적이지 않고 또한 자신이 순수하지 않습니다.
〈북처〉가 가정하는 현실은 재난을 재현하고 설명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기보다 보수를 기다리거나 보수를 미루는 공간에 대한 은유에 가깝다.
즉, 일종의 블랙 투어리즘의 일환으로 이곳을 외부인이 방문하고 일상과 다른 곳으로 묘사하여 탐험과 개발의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미래의 재앙이나 실제 과거 경험을 상기시키는 대신 현재를 유추하게 합니다.
극을 추동하는 존재간 갈등의 양상은 외부적 존재에 기인하며,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 외부에서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 또는 존재들 사이에 생성된 경계 갈등, 갈등은 연 사이에서 주로 발견된다.
그리고 현은 꽤 회고적이고 적이며 현재 유효한지 알기 어렵습니다.
연씨는 남편이 원전 폭발로 사망했고 주홍글씨를 쓴 채 어쩔 수 없이 현씨를 뱃속에 던져(?) 버렸다고 한다.
물론 아이를 키우는 수준일 것이다.
이것이 조치를 취하라는 요청인지 현에 대한 애정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둘 다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반대로 연에 대한 현의 감정은 어떤 형태의 원망이나 답답한 애착과도 관련이 없어 보인다.
결국 갈등이 발생하지만 두 사람의 내부에서 아무것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두 사람 모두에게 “결국”타자의 존재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은 것이 올바른 것 같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해소될 수 없으며, 단지 감정의 측면이 모호하다는 것을 말해줄 뿐이다.
정상적 이념적 모자관계라고 불리는 혈족관계는 균열과 균열의 패턴으로 미끄러질 뿐이다.
연은 현을 이곳에 두고 떠나고, 돌아오고, 또 떠난다.
후반기 기침을 하며 몸의 아픔을 최대한 표현한 희는 여기 남기를 선호하지만 사실 그런 선택도 우연인 것 같다.
결국 이 장소의 갑작스러운 소멸은 우리에게 남겨진 것의 목적이 아닌, 최후의 사태를 말해줄 뿐이다.
그에 따르면 그들은 참사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선택지를 생각할 수 없는 필연성에 적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이 세상에서 보이지 않는 존재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주는 자유와 자율의 질서를 인지하고 자신을 전복시키는 것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한다.
또한 파국의 가시성을 보여주는 북체의 영향도 거론할 수 있다.
그러나 결정의 정확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파악하지 못한 채 그들은 불가사의한 행방을 우연히 발견한다.
함께 여행을 다녀온 일행 중 필은 갈까, 남을까 혼란스러운 상황에 ‘기화’했다.
이것은 부재의 공간이 된다.
끝까지 이 곳을 떠나지 않았던 노체는 재난이 없는 곳으로 가거나, 이곳이 아닌 다른 곳으로 간 사람들을 이것의 공통분모로 따라가지 않고, 재난이 일어난 곳을 떠났다.
장소 ‘파국’과 ‘사람’의 중첩이 사라졌다.
. 관성을 대신함으로써 Northche는 원래의 프로그래밍 언어, 즉 개선 사항을 유지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자의적이고 자율적인 결정인 것 같고, 그가 이곳에 온 것이 임무에 대한 복종이라면, 이 상황에 대한 의례가 없는데 어떻게 그가 “부재”의 입장을 취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옥씨가 말한 ‘무화과를 어디까지 열 수 있는가’라는 곳은 어떤 느낌일까? 이는 생태계의 기준으로서 북체의 몸과 같이 자연의 영속적인 생명력 속에 자리잡은 ‘아래’의 의존적 존재를 전제로 한다.
가지다
김민관 편집장 [email protected]
(성능 개요)
공연명 : 〈NOSCE〉 2022 창작센터 New Play of the Year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공연일시 : 2023년 2월 03일(금) ~ 2023년 2월 12일(일) 화,목,금 8:00 / 수 4:00, 8:00 / 토 3:00, 7:00 / 일 3:00
관람연령 : 만 8세 이상
공연 시간: 100분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3개 프로젝트 그룹
후원: SGI서울보증, ARTISTREE
〈더 메이커스〉
출연 : 김은희, 선균선, 박윤정, 최희진, 윤정로, 김민주
저자 : 황정은
감독 : 윤성호
연출 박진아
무대디자인: 박상봉
메이크업 및 소품 디자인: 장경숙
조명 디자인: 노명준
사운드 디자인: 유옥순
의상 디자인: 김미나
자막 디자인: 이효진
조명기술자: 이혜지
음향사 : 오재성
자막운영자 : 임민정
그래픽 디자인: 정김소리
홍보사진 : 강희주
조감독: 안윤조
홍보기획 : 안희성
프로듀서: 김민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