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력과 결단력 있는 태종
태조는 조선의 왕이 되기까지 양가감정에 시달려 모순된 행동을 했지만, 태종은 모든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권력욕을 숨기지 않았다.
태종은 추진력이 있고 목표가 뚜렷했기 때문에 결단력과 결단력이 있었고 후회나 미련이 없었다.
태조와 태종 모두 한때는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그 이유는 달랐다.
조민수가 폐위된 후 사람들은 이성계를 왕으로 삼으려 했지만 이성계는 거절했다.
첫째 왕자가 태어난 후 사람들은 이방원을 왕으로 삼으려 했지만 이방원 역시 거절했다.
둘 다 왕위에 올랐을 때 같은 것을 거부했지만 완전히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이성계가 결정을 내리지 못하자 이방원은 더 좋은 때를 기다렸다.
이성계는 더 이상 선택을 할 수 없을 때까지 궁지에 몰려 왕이 되었고, 이방원의 경우에는 소신을 가지고 왕을 ‘만들었다’.
태조 vs 태종 즉위 후
태조의 갈등과 태종의 자신감은 왕이 된 후에도 여실히 드러났다.
조국에 대한 거창한 계획이 없는 태조는 궁정에서는 정도전, 집안에서는 부인 강씨에게 끌렸고 세자는 그들의 의견을 충실히 따랐다.
그래서 왕위에 오른 지 1년 만에 이방석을 황태자로 급히 세웠다.
결국 이 사건은 왕자의 난이라는 참혹한 사건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 이후에도 그는 현명하기보다는 서둘러 왕위를 넘기는 쪽을 택한다.
건강이 좋지 않아 즉위했다는 명분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왕위에서 물러난 뒤 10년 동안 건강하게 살았다고 한다.
태종의 경우에도 세자 책봉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장남인 양녕대군은 어려서부터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양녕은 왕의 자격이 없다고 판단되어 세자를 폐지하고 충녕대군을 세자로 삼기로 결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태종은 태조와 달리 오랜 시간에 걸쳐 조심스럽게 진행했지만 동시에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가능한 모든 문제를 제거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충녕대군에게 세자에 대해 철저히 교육시켰고, 충녕대군이 세종대왕으로 즉위한 뒤에도 죽을 때까지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애썼다.
천도를 하더라도 태종은 왕위에 오른 뒤 한양으로 천도할 것을 독려한다.
그러나 그 이유는 개경의 덕을 약화시켰던 도참설과 고려시대부터 성행했던 한양명당설 때문이었다고 한다.
준비 없이 급하게 수도로 이동한 덕분에 1년 동안 긴급 대피소에 있기도 했습니다.
이 결정은 왕자들의 첫 봉기 이후 다시 번복되었습니다.
수도를 한양에서 개경으로 옮겼다.
한편, 태종이 왕위에 오른 뒤에도 여러 사정을 고려해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기로 결정했고, 한양은 조선의 수도가 되었다.
함흥차사의 유래
태조는 태조의 난과 개경정착 이후 고향인 함흥으로 거처를 옮겼다.
태종은 태조를 다시 궁으로 데려오려 했지만 이성계는 계속해서 함흥에 머물렀다.
자기를 설득하러 온 사람들까지 화살로 쏴 죽였다고 한다.
그래서 함흥으로 갔던 사람들이 돌아오지 않아서 함흥차사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놓지 않는 아들과 양가적인 아버지의 싸움에서 아버지는 질 수밖에 없었고 태조는 태종에게로 돌아갔다.
약한 아버지와 강한 아들
태종과 태조는 성격이 상반되지만 태조를 못생긴 사람으로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태조는 왕의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 성격에 불과했고, 이방원은 왕의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 성격이었다고 보는 편이 옳다.
태조는 가장으로서 아내를 매우 사랑했고, 자신을 괴롭힌 태종에게 복수하지 않고 모든 것을 용서한 사람이기도 하다.
한편, 태종은 자신을 도와 왕위에 오른 왕비와 가족들을 가혹하게 대했을 뿐만 아니라, 외가를 막았다는 이유로 계속해서 후궁을 데려오고, 처남 4명을 살해하기도 했다.
태종에게는 왕권 강화만이 중요했다.
아버지라고 해도 훌륭한 아버지는 아니었습니다.
자격이 없었기에 과감히 양녕대군을 내쫓고 충녕을 세자로 삼았다.
또한 사람의 성격은 노력이나 의지보다는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우선 태조 이성계가 먼저였다.
이복동생 이원계가 있었지만 장남의 짐은 이성계가 짊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째,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책임”이라는 말을 듣기 때문에 행동하기 전에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마음에 갈등이 많고 우유부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성계도 무사였다.
수십 년간의 전쟁은 사람들을 더 강하게 만드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 반대입니다.
우리가 싸우고 끝없이 사람을 죽일수록 우리는 점점 더 겸손해지고 나약해집니다.
삶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당신의 선택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살 수 있음을 깨닫기 때문입니다.
반면 태종은 다섯째 아들이었다.
고려의 떠오르는 영웅 이성계의 아들이기도 하다.
남동생은 항상 형을 때리고 싶어합니다.
이방원에게는 ‘책임’보다 ‘경쟁’이 삶의 화두였다.
원천.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